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정보모음/이런저런 생활정보

전기료까지 오른다고? 전기 사용 줄이기 팁 공개!

by 티벳맘 2023. 1. 31.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린이 티벳맘 입니다.

 

이번달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 받고 다들 많이 놀라셨죠.

저도 정말 말도 안 되는 금액이 관리비로 청구되어서 믿을 수가 없었는데요.

실제 지난해 전국 아파트 제곱미터 당 평균 난방비가 1년 전보다 50% 이상 급등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지난 포스팅에 적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번달부터는 전기료까지 오른다는 소식입니다. 

이미 전국적으로 난방비 대란이 시작된 가운데 전기료까지 올라 서민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전기요금은 지난해 세 차례에 걸쳐 킬로와트시(kWh) 당 19.3원이 올라 작년 동월 대비 이미 16%가 올랐습니다.

거기에 더해 올해 1분기에는 kWh당 13.1원이 더 오를 예정이고 그 인상률은 9.5%나 됩니다.

1년이 조금 넘는 시간 동안 562원이던 전기료가 곧 665원이 될 예정입니다.

이런 인상폭은 지난 1981년 이후 42년 만에 최고 폭이라고 합니다. 

 

전기료의 인상은 각종 산업 분야에도 크게 영양을 미쳐 모든 물가 상승의 릴레이를 가져올 듯싶습니다.

 

 

지금부터는 전기 소비량을 줄이기 위한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전기 소비량 파악

집에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할 일은 현재 전기 소비량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아파트아이와 같은 지난 관리비를 모두 볼 수 있는 어플이나 이게 없다면 지난달 관리비 고지서를 참고하여 평균적인 전기 사용량을 파악하고 얼마나 줄일 수 있을지 목표 설정을 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설정한 수치는 앞으로 실천할 전기 절약에 대한 목표 의식을 계속 일깨워 줄 수 있습니다.

 

2. 나도 모르게 소비되는 전기 차단

전원을 켜놓는 것뿐만 아니라 플러그를 꽂아 두는 것만으로도 전기가 조금씩 소비된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

우리 모두가 생각하는 TV, 컴퓨터 등뿐만이 아니라 커피머신, 전자레인지, 토스터, 휴대폰 충전기 등 우리 생활에서 사용하지 않아도 플러그를 꽂아두는 경우는 정말 많습니다. 이런 것도 전기 소비가 되는 점에 유의하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끄는 것뿐만 아니라 플러그까지 뽑아두도록 합니다. 이는 전기 사용을 아낄 뿐만 아니라 전기 안전에도 좋은 효과를 줍니다.

 

하지만 매번 플러그를 뽑기가 번거로울 수밖에 없습니다. 이때는 전원 스위치가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여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요즘에는 '스마트 콘센트'가 출시되어 휴대폰 어플로 전기를 차단할 수 있는 콘센트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 태블릿 및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시스템이 종료되도록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 소비를 50%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

 

3.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높은 제품 선택하기

냉장고 및 세탁기와 같은 전자기기에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효율 등급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생긴 라벨들 다들 보셨죠?

한전에서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 1등급 제품을 구매했을 때 가전제품비의 10%를 돌려줄 수도 있다고 합니다.

모두가 해당되는 것은 아니니 대상자 조회 해보시고 받으실 수 있으면 돌려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세탁기 및 건조기 관리하기

건조기가 생각보다 많은 양의 전기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건조기를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전기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세탁물을 자연 건조할 공간이 없거나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세탁물의 물기를 최대한 제거한 뒤 건조기에 넣는 것이 건조기 사용량을 줄이고 전기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세탁을 할 시에도 세탁기 전력 소비의 90%가 세탁을 위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로 쓰이므로 가능한 애벌 세탁 없이 저온 세탁이나 냉수 세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탁물이 뜨거운 물로 해야 지워지는 얼룩이 있다면 해당하는 의류만 골라 따로 얼룩 부분을 제거한 뒤 세탁기에 집어넣도록 합니다.

 

5. 주방에서 전기 절약하기

주방에서도 조금만 더 신경 쓰면 여러 가지 부분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1) 전자레인지 사용하기 : 상대적으로 오븐보다 전자레인지의 에너지 효율이 더 높습니다. 따라서 오븐보다는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것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팬 뚜껑 덮기 : 조리 시 팬의 뚜껑을 덮어 열이 나가지 않게 도와주면서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습니다.

 

3) 조리가 끝나갈 때 조금 일찍 마무리하기 : 조리가 거의 마쳐진 상태에서는 약간의 잔열을 이용한 요리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미리 에너지를 차단하고 남은 열 기운으로 조리를 마무리하면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냉장 및 냉동고 사용

냉장 및 냉동고의 경우 문을 자주 여닫을수록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꺼낼 때는 한 번에 꺼내서 계속 열고 닫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음식을 넣을 때는 충분히 상온에서 식힌 뒤 넣어야 온도를 낮추기 위해 불필요한 전기를 소비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냉장 및 냉동고 용량도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필요치 않게 큰 냉장고를 구입하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7. 실내조명 사용

집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전기는 아마도 형광등이 아닐까 싶은데요.

사용하지 않는 불은 꺼 주는 것이 당연하며, 일반 전등 대신 에너지 절약형 전등을 선택하는 것도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한 방법입니다. 이에 더해 최근에는 '스마트램프'도 출시되어 어플로 전등의 전원을 조절할 수 있어 깜빡 잊고 끄지 않은 형광등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낮에는 최대한 전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광을 이용하도록 하며 혹시나 전등에 먼지가 쌓여 빛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이 부분도 때때로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8. 난방용 전열기구 절약하기

실내에서 사용하는 전열기구의 사용도 줄여야 합니다.

겨울에 집을 비울 때는 집안의 커튼과 블라인드 등을 닫아 두어야 실내의 온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필요시 내복 등을 더 착용하여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난방을 1도 낮추는 것이 관련된 전기의 7%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위와 같이 오늘은 인상된다는 전기료 소식을 듣고 어떻게 하면 전기를 아낄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통상적으로 12월 보다 1월의 난방 및 전기 사용량이 더 많아 더 충격적인 관리비 고지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부터라도 전기 사용 및 소비를 줄여 에너지도 절약하고 관리비도 절약해 보려고 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